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속행 공판에 출석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. (사진=연합뉴스)
[스마트에프엔=조성호 기자]
국내 대기업들이 연말 정기 임원인사를 속속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 정기 인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. 특히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타계로 회장직이 공식인 만큼 이재용 부회장의 승진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.
다만 이 부회장의 ‘사법리스크’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삼성의 인사 시점과 폭은 오리무중에 빠졌다. 금년 정기 인사도 올해 초 발표한 만큼 내년도 인사 발표 시점도 해를 넘길 것이라는 관측이다.
통상적으로 삼성은 12월 첫째 주 목요일에 사장단 인사를 발표하고 이어 후속임원 인사를 진행했다. 하지만 2016년 이후 이 부회장의 국정농단 연루 의혹 및 경영권 승계 관련 재판이 계속되면서 임원 인사가 미뤄진 전례가 있다.
30일 재계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고법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속행 공판에 출석했다. 이 부회장의 법정 출석은 지난 9일과 23일에 이어 이달에만 세 번째다. 다음 달 7일에도 공판기일이 잡혀있다.
이어 내년 1월14일에는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 관련 재판도 예정돼 있다. 지난달 22일에 이어 두 번째 공판 준비기일이다. 앞서 검찰은 지난 9월 이 부회장에 대한 대검찰청 수사심의위원회의 불기소 권고에도 법적 책임을 묻기로 하면서 재판이 시작됐다.
이처럼 사실상 그룹 총수 역할을 해온 이 부회장은 사법리스크가 장기화되면서 향후 경영활동에도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. 이에 일각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현 체제를 유지하는 ‘안정’에 초점을 맞춘 인사 단행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.
다만 현직 임원들 중 일부가 재판에 연루돼 있다는 점에서 경영공백 최소화를 위한 인사 단행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. 삼성은 지난해에도 ‘안정’을 택하면서도 50대 초반의 젊은 사장들을 발탁하는 등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.
아울러 이번 삼성 정기인사에서 최대 관심사는 이 부회장의 승진 여부다. 하지만 이 부회장의 승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시각이 우세하다. 이 부회장이 지난 2017년 12월 국정농단 항소심 결심공판에서 특검 측의 심문을 받으며 “앞으로 삼성그룹에 회장 타이틀은 없을 것”이라고 강조했기 때문이다.
또한 재판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장으로 승진하게 될 경우 불필요한 논란은 물론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.
재계 한 관계자는 “삼성은 지난 인사와 마찬가지로 안정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성과주의 인사 원칙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”고 전망했다.